연봉계약서 작성법/양식, 서식 워
안녕하세요 ! 오늘은 연봉계약서란 무엇...
1인 이상의 사업체를 운영하는 모든 사업장은 임금 대장뿐만 아니라, 임금 명세서도 반드시 기록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해야합니다 🙂 법적의무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떻게 작성하는지 그리고 샘플과 서식 다운로드를 가이드
드리겠습니다.
임금 대장 작성 법적 의무
각 사업장별로 임금대장을 작성하고 임금과 가족수당 계산의 기초가 되는 사항, 임금액 등의 기재사항을 임금을 지급할 때마다 적어야 합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48조제1항).
임금 대장 교부 위반 시 벌칙
임금대장을 작성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근로기준법」 제116조제2항제2호).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
사용자는 임금을 지급하는 때에는 근로자에게 임금의 구성항목·계산방법, 법령 또는 단체협약에 따라 임금의 일부를 공제한 경우의 내역 등을 적은 임금명세서를 서면(전자문서를 포함함)으로 교부해야 합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48조제2항).
임금 명세서 교부 위반 시 벌칙
근로자에게 임금명세서를 교부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근로기준법」 제116조제2항제2호).
임금 대장: 임금대장 기본 기재 사항
사용자는 임금대장에 아래와 같은 필수 사항을 근로자(직원) 개개인별로 적어야 합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48조제1항 및 규제「근로기준법 시행령」 제27조제1항).
임금 대장: 필수로 적어야 하는 사항
(추가) 사용기간 30일 미만 일용근로자에 대한 예외 사항이 있습니다.
사용기간이 30일 미만인 일용근로자에 대해서는 위의 기재사항 중
① 생년월일, 사원번호 등 근로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② 임금 및 가족수당의 계산기초가 되는 사항 (규제「근로기준법 시행령」 제27조제2항).
을 적지 않아도 됩니다 🙂
(추가) 4명 이하, 농림·수산·축산 사업 등 종사자에 대한 예외 사항도 있습니다.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저 위 필수 기재사항 중 ① 근로시간수, ② 연장근로, 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를 시킨 경우에는 그 시간수에 관한 사항을 적지 않아도 됩니다~! (규제「근로기준법」 제63조, 규제「근로기준법 시행령」 제27조제3항 및 제34조).
임금 명세서: 모든 사업장은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를 지켜야 합니다.
사업장은, 임금을 지급하는 때에, 근로자(직원)에게 임금의 구성항목·계산방법, 법령 또는 단체협약에 따라 임금의 일부를 공제한 경우의 내역 등을 적은 임금명세서를 서면(전자문서를 포함함)으로 교부해야 합니다!(규제「근로기준법」 제48조제2항).
임금 명세서: 임금명세서에 필수로 기재해야 하는 사항
사용자는 임금명세서에 다음의 사항을 적어야 합니다! 🙂
임금 대장 샘플
임금 명세서 샘플
다양한 임금 대장 프로그램이 있긴 하지만, 사원수가 많지 않은 사업체인 경우 그냥 엑셀 파일이나 워드 파일로 정리해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고용노동부 발 문서를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구글 문서로 공유드리니 링크를 클릭 후 다운받기를 눌러서 자유롭게 사용하시면 될 것 같아요!
사용자가 임금명세서 교부에 대한 인사노무관리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는 무료로 제공되는 ‘임금명세서 작성 프로그램’을 통해 전자적 형태의 임금명세서를 손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에서 ‘개별작성’ 기능을 활용하면 근로자 한 명의 임금명세서를 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다수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번에 작성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또한 모바일에서도 간단한 형태의 임금명세서 작성이 가능합니다.
▶고용 노동부 임금 명세서 프로그램으로 임금 명세서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