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서식, 문서, 다운로드 사이트 위폼

Docly

프리랜서 사업자 등록 장점과 단점 알아보자

Estimated reading: 1 minute 1012 views

프리랜서, 사업자 등록 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하지만 반드시 해야하는 것도 아닙니다. 프리랜서의 경우 사업자등록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프리랜서가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가세 환급 등 개인사업자가 얻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질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부가세 환급을 받지 못하는 것, 큰 단점일까요? 이 또한 사람마다 다릅니다. 만약 서비스나 상품을 제공할 때 들어가는 원재료, 월세(공유오피스, 사무실 비용 등) 부가세 환급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있기 때문에 부가세 환급을 많이 받을 수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내 현재 상태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사업자를 내지 않으면 사업자 대상 여러 세금 제도의 권리를 누릴 수 없고, 추가로 직원을 고용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사업자 등록을 해야만 사업장이 있거나 직원을 고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리랜서 사업자 등록 시 단점은 무엇을까요?

  1. 부가세 환급 불가
    프리랜서로 활동하면서 발생하는 부가세는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 환급받을 수 없습니다. 이는 수익을 낼 때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 사업자 대상 세금정책 미해당
    다양한 세금 혜택이나 정책이 있지만, 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으면 이러한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특히 재무 상태나 세금 절감을 위해 이러한 정책을 활용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3. 직원 고용 불가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거나 업무량이 많아져서 추가 인력이 필요할 경우,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으면 정식으로 직원을 고용할 수 없습니다.
  4. 사무실 등 설비 소유 불가
    자신만의 사무실을 갖거나 특정 설비를 필요로 할 때, 사업자로서의 등록 없이는 이러한 설비나 사무실을 소유하거나 임대하는 것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 사업자 미등록 시 단점은 무엇일까요?

프리랜서로서 사업자 등록을 고려하시는 분들 중 많은 분들이 사업자 등록 시 어떤 장단점이 있을지 궁금해하십니다. 아래에서는 사업자 등록의 주요 단점에 대해서 설명해드릴게요 ^^

  1. 세금계산서 발행 및 부가세 신고 번거로움
    사업자 등록 후에는 세금계산서 발행과 부가가치세 신고 절차가 필요합니다. 프리랜서 사업자 미등록 시에는 3.3%의 원천징수만 고려하면 되었지만, 사업자로 등록하면 관련 영수증 및 증빙서류를 꼼꼼히 보관해야 합니다.
  2. 영수증 및 증빙 서류 관리의 중요성
    사업 경비 지출을 증빙하기 위해서는 영수증 및 관련 서류의 보관이 필요합니다. 이는 약간의 번거로움을 느낄 수 있지만, 이런 절차를 통해 부가세 환급의 기회도 있습니다.
  3. 온라인 세무기장 서비스의 활용
    세무사의 도움 없이도 온라인 세무기장 서비스, 예를 들면 ‘이지샵’과 같은 플랫폼을 활용하여 세금신고 절차를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4. 매출액에 따른 등록 여부의 고려
    프리랜서의 연간 매출액이 약 2,400만원 미만일 경우, 사업자 미등록이 경제적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매출이 2,400만원을 초과한다면 사업자 등록을 고려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사업자 등록의 단점과 그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을지라도, 프리랜서로서의 사업 활동을 계속 확장하고 성장시키고자 하는 분들에게는 사업자 등록을 꼭 고려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Leave a Comment

공유하기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