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을 사로잡는 성공적인 마케팅
모든 성공적인 사업 뒤에는 잘 설계된 마...
마케팅 믹스의 4가지 요소인 제품, 가격, 유통, 촉진 중에서 우리는 제품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제품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제품 믹스의 개념을 이해해야 하는데요, 제품 믹스, 또는 제품 포트폴리오,는 한 기업이 시장에 제공하는 모든 제품 라인의 전체 집합을 의미합니다. 즉 우리가 제공 하려는 제품 군에 대해서 당연히 기업은 잘 알고 있고, 잘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죠.
기업이 판매하는 모든 제품의 집합을 의미하고, 유사한 것끼리 묶거나 분류하는 것을 말합니다. 같이 묶인 집단에는 같은 마케팅 전략을 구사할 수도 있고, 각각의 다른 유형의 제품 집합에는 해당 집합에 따라 최적화된 개별화 마케팅 전략을 세우기도 합니다.
제품 믹스 1) 제품 믹스의 넓이/폭
제품 계열의 수
정의: 제품 믹스의 폭은 한 회사가 제공하는 다양한 제품 라인의 수를 말합니다. 여기서 제품 라인이란 서로 관련성이 있거나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들의 그룹을 의미합니다.
예시: 삼성은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가전제품 등 여러 제품 라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제품 믹스의 폭은 이 네 가지 카테고리로 구성됩니다.
마케팅 전략: 제품 믹스의 폭을 확장함으로써 회사는 다양한 시장 부문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장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제품 라인을 관리하는 것은 자원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적정한 수준의 제품 계열 유지가 중요합니다. 회사의 핵심 역량과 시장 수요를 기반으로 결정해야 합니다.
제품 믹스 2) 제품 믹스의 길이
제품 라인에 포함된 총 제품 수
정의: 제품 믹스의 길이는 모든 제품 라인에 포함된 총 제품 수입니다. 각 제품 라인 내의 제품들을 모두 합한 수치입니다.
예시: 삼성의 스마트폰 라인에 갤럭시 S 시리즈, 갤럭시 노트 시리즈, 갤럭시 A 시리즈 등이 있을 때, 이 모든 스마트폰 모델의 총 수를 합한 것이 제품 믹스의 길이가 됩니다.
마케팅 전략: 긴 제품 믹스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지만, 각 제품에 대한 마케팅과 재고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 관리 및 마케팅 노력을 최적화하여 수익성을 유지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제품 믹스 3) 제품 믹스의 깊이
한 제품 라인 내에서 제공되는 제품의 변형 수
정의: 제품 믹스의 깊이는 한 제품 라인 내에서 제공되는 제품의 변형 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색상, 크기, 기능 등 제품의 다양한 버전을 포함합니다.
예시: 삼성의 갤럭시 S 시리즈 중에서 빨간색, 파란색, 검은색 라인으로 제공되는 것을 말합니다.
마케팅 전략: 제품 믹스의 깊이를 증가시키면 특정 시장 세그먼트의 더 세분화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변형은 제조 및 관리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시장의 수요와 회사의 운영 효율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제품 믹스의 길이과 깊이에 따른 다양한 전략 (상향, 하향, 쌍방, 확충 전략)
제품 믹스의 길이와 깊이에 대한 전략으로는 하향확장, 상향확장, 쌍방확장, 제품 확장이 있어요.
1. 하향확장(Down-market Stretch):
개념: 기업이 기존 제품 라인보다 낮은 가격대의 시장 세그먼트로 제품 라인을 확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보통 더 넓은 시장에 도달하기 위해 진행됩니다.
예시: 삼성이 갤럭시 S 시리즈와 같은 프리미엄 스마트폰 라인에서 더 저렴한 갤럭시 A 시리즈나 갤럭시 M 시리즈를 출시하는 것입니다. 이는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타겟으로 삼는 전략입니다.
2. 상향확장(Up-market Stretch):
개념: 기업이 기존 제품 라인보다 높은 가격대의 시장 세그먼트로 제품 라인을 확장하는 것입니다. 이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높은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시: 삼성이 갤럭시 A 시리즈나 갤럭시 J 시리즈와 같은 중저가 스마트폰에서 더 고급화된 갤럭시 S 시리즈나 갤럭시 Note 시리즈를 출시하는 것입니다. 이는 프리미엄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전략입니다.
3. 쌍방확장(Two-way Stretch):
개념: 기업이 동시에 상향확장과 하향확장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이는 시장의 다양한 세그먼트를 포괄하려는 전략입니다.
예시: 삼성이 갤럭시 S 시리즈의 고급 모델을 출시하는 동시에 갤럭시 A 시리즈의 저가 모델을 출시하여, 동시에 상위 및 하위 시장 모두에 제품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4. 제품 확장(Product Line Filling):
개념: 기업이 기존 제품 라인 내에서 새로운 제품을 추가하여 제품 라인의 ‘빈틈’을 채우는 전략입니다. 이는 소비자에게 더 많은 선택을 제공하고,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예시: 삼성이 갤럭시 S 시리즈 내에서 갤럭시 S20, S20+, S20 Ultra와 같이 다양한 성능과 가격대를 가진 모델을 출시하는 것입니다. 이는 같은 시리즈 내에서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와 예산에 맞춰 선택의 폭을 넓히는 전략입니다.
브랜드란,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식별시키고 경쟁자들과 차별화 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의 이름, 로고 등들 말합니다.
브랜드의 역할을 말하자면 강력한 브랜드 파워는 고객 충성도를 높입니다. 예를 들어 ‘볼보’라는 브랜드 이름만 들어도 안전할 것 같고, 안전을 중시하는 소비자에게는 강한 믿음을 줍니다.
또한 높은 브랜드 파워로 마케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 이름 자체 만으로도 소비자에게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거든요.
브랜드의 계층 구조 (기업 브랜드, 패밀리브랜드, 개별브랜드)
브랜드의 계층 구조는 기업이 자신의 제품과 서비스를 어떻게 조직하고 시장에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브랜드 계층 구조는 일반적으로 기업 브랜드, 패밀리 브랜드, 개별 브랜드의 세 가지 주요 레벨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계층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시장 전략에 따라 결정됩니다.
1. 기업브랜드(Corporate Brand):
정의: 기업브랜드는 회사의 이름과 직접 연결되며, 회사 전체의 이미지와 명성을 나타냅니다. 이는 회사의 모든 제품과 서비스에 걸쳐 일관된 신뢰성과 품질을 암시합니다.
예시: 삼성(Samsung)은 기업 브랜드로, 다양한 제품 라인과 서비스를 포괄합니다. 삼성은 스마트폰, TV, 가전제품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면서 일관된 품질과 혁신을 대표합니다.
2. 패밀리브랜드(Family Brand):
정의: 패밀리브랜드는 특정 제품군이나 범주에 속하는 모든 제품을 아우르는 브랜드입니다. 이는 서로 다른 제품들이 공통된 특성이나 가치를 공유할 때 사용됩니다.
예시: 삼성 갤럭시(Galaxy)는 패밀리 브랜드의 좋은 예입니다. 갤럭시 브랜드 아래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제품이 포함되어 있으며, 모두 동일한 기술 혁신과 품질을 대표합니다.
3. 개별브랜드(Individual Brand):
정의: 개별브랜드는 특정 제품에만 사용되는 고유한 이름입니다. 각 개별 브랜드는 독립적인 시장 정체성을 가지며, 다른 제품과는 구별됩니다.
예시: P&G(Procter & Gamble)의 경우, 타이드(Tide), 팸퍼스(Pampers), 질레트(Gillette) 등 여러 개별 브랜드를 운영합니다. 각각의 브랜드는 서로 다른 제품 범주에 속하며, 각기 다른 타겟 오디언스를 가집니다.
각각의 브랜드 계층은 특정한 마케팅 전략과 소비자 기반을 목표로 합니다. 기업 브랜드는 회사의 전체적인 신뢰도와 명성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패밀리 브랜드는 특정 제품군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구축하는 데 사용되며, 개별 브랜드는 특정 시장 세그먼트에 더욱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브랜드 주체 (후원자) – 제조업체 브랜드, PB, 무상표품, 공동 브랜드
브랜드 주체(후원자)는 브랜드를 소유하고 관리하는 주체를 말합니다. 이는 제품의 브랜딩 전략과 시장 포지셔닝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제조업체 브랜드(Manufacturer’s Brand):
정의: 제조업체 브랜드, 또는 국가 브랜드는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가 직접 소유하고 관리하는 브랜드입니다. 제조업체가 자신의 브랜드 이름으로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고, 브랜드 마케팅과 광고를 진행합니다.
예시: 애플(Apple), 나이키(Nike), 삼성(Samsung)과 같은 회사들은 자신들의 제품을 자체 브랜드로 판매하며, 이들 제품은 회사의 명성과 이미지를 대표합니다.
2. 유통업체 브랜드(Private Label Brand 또는 Store Brand): PB 브랜드
정의: 유통업체 브랜드, 또는 스토어 브랜드는 소매업체, 유통업체 또는 체인점이 자체적으로 소유하고 관리하는 브랜드입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에 의해 생산되지만, 유통업체의 브랜드 이름으로 판매됩니다.
예시: 이마트 PB 노 브랜드(NO Brand)와 무신사의 무신사 스탠다드(Musinsa Standard)가 그예가 될 수 있겠습니다.
3. 무상표품(Generic Brand):
정의: 무상표품은 특정한 브랜드 이름이나 식별 가능한 포장이 없는 제품을 말합니다. 이러한 제품은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가격대를 목표로 하며, 포장이 단순하고 광고나 마케팅을 거의 하지 않습니다.
예시: 일부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무명의 식료품이나 생필품은 브랜드 이름 없이 ‘우유’, ‘설탕’, ‘쌀’ 등의 일반적인 명칭으로 판매됩니다.
4. 공동 브랜드(Co-branding):
정의: 공동 브랜딩은 두 개 이상의 브랜드가 협력하여 하나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공동으로 마케팅하는 전략입니다. 이는 서로 다른 브랜드의 강점을 결합하여 소비자에게 추가 가치를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합니다.
예시: 아디다스와 칸예웨스트가 같이 협력해서 이지라는 브랜드를 만들어 홍보하는 것이 공동 브랜딩의 예입니다. 여기서 두 브랜드의 명성과 특성이 결합되어 새로운 소비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각각의 브랜드 주체 유형은 제품의 시장 포지셔닝, 가격 전략, 타겟 오디언스, 마케팅 전략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기업은 자신의 제품과 시장 목표에 맞는 적절한 브랜드 전략을 선택해야 합니다.
기업의 특정 제품의 수익률이 급격히 떨어지거나, 제품 수명주기의 성숙기나 쇠퇴기에 진입했다고 판단된다면 이를 제품믹스에서 제거 하기 전에 이를 개선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수확 전략, 철수 전략 단순화 전략이 있습니다.
1. 수확 전략(Harvesting Strategy):
정의: 수확 전략은 제품의 수익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마케팅 비용을 최소화하는 전략입니다. 제품에서 더 이상 큰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울 때, 기업은 추가 투자를 줄이고, 제품에서 가능한 한 많은 현금을 추출하려고 합니다.
적용: 이 전략을 통해 기업은 광고 비용, 판매 촉진, 연구 개발 비용 등을 줄이면서 제품을 시장에 계속 남겨둡니다. 주로 충성 고객이나 특정 시장 세그먼트에 집중하여 점진적으로 이익을 창출합니다.
예시: 만약 한 기업의 특정 스마트폰 모델이 쇠퇴기에 접어들었다면, 새로운 기능 추가나 마케팅 캠페인에 대한 투자를 줄이고, 기존 고객 기반에 집중하여 마진을 유지하며 판매를 계속할 수 있습니다.
2. 철수 전략(Divestment Strategy):
정의: 철수 전략은 제품을 시장에서 완전히 제거하고, 관련 자산을 판매하는 전략입니다. 이는 제품이 더 이상 수익을 창출하지 않거나, 기업 전략에 부합하지 않을 때 사용됩니다.
적용: 제품 라인에서 해당 제품을 제거하고, 제품과 관련된 재고, 설비, 특허 등을 매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손실을 줄이고, 다른 더 유망한 제품이나 시장에 자원을 재투자할 수 있습니다.
예시: 회사가 생산하는 구형 모델의 컴퓨터가 시장 수요가 없어진 경우, 해당 제품 라인을 중단하고 생산 설비를 매각할 수 있습니다.
3. 단순화 전략(Simplification Strategy):
정의: 단순화 전략은 제품 라인을 간소화하고, 제품의 변형을 줄이며,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전략입니다. 이는 관리 비용을 줄이고, 제품 포트폴리오를 더욱 집중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적용: 제품의 다양한 모델, 색상, 사이즈 등을 줄이고, 생산과 유통 과정을 간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합니다. 이는 또한 고객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재고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합니다.
예시: 어떤 의류 브랜드가 너무 많은 색상과 사이즈의 옵션으로 인해 과잉 재고를 겪고 있다면, 가장 인기 있는 몇 가지 색상과 사이즈만 유지하고 나머지는 제거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