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서식, 문서, 다운로드 사이트 위폼

자, 마케팅 조사에서 자료의 종류에는 1차 자료와 2차 자료가 있다고 했죠? 조사자가 직접 찾아 헤매는! 조사자가 직접 찾는 자료인 1차 자료 조사법에는 서베이법(설문조사법), 관찰법, 실험법이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서베이법에 대해서 배워보았구요 이제는 관찰법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찰법이란?

조사 대상의 행동 패턴을 관찰함으로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조사대상의 #행동패턴 #관찰

관찰법이란 말 그대로 조사 대상의 행동 패턴을 관찰함으로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프리카 대초원에서 사자(조사대상)을 계속 지켜보면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 (행동패턴)을 관찰한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편해요.

관찰법은 조사 대상자를 면밀히 지켜봐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들 보다는 좀 더 비용도 많이 들고, 번거로운데요 , 그렇다면 어떤경우에 우리는 관찰법을 써야할까요? (=관찰법의 장점)

1) 정확한 행동 패턴 측정이 매우 중요한 경우 = 관찰법은 정확성이 높다

만약 어떠한 행동을 매우 정확하게 측정해야 한다면 우리는 서베이보다는 관찰법을사용해야 합니다. 만약 당신을 일어나자마자 기지개를 폅니까? 안폅니까? 를 조사한다고 하면 보통 사람들은 이를 기억하기 힘들어하기 때문에 관찰법을 통해서 이를 조사하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2) 짧은 시간 내에 행동이 이루어 지는 경우

집을 구매하는 과정을 관찰하기란 힘듭니다. 왜냐하면 너무나 많은 과정이 오랜 기간에 걸쳐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잠에서 깨서 조사 대상이 바로 기지개를 펴는지 아닌지와 같이 매우 짧은 시간 내에 행동이 일어나는 경우에 관찰법이 적합해요.

2) 조사 대상자와 대화가 불가능한 경우 (=어린이, 동물)

유아나 동물과 같이 대화나 소통이 불가능한 경우 관찰법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관찰법의 한계는요?

1) 관찰법으로 내면을 측정하는것은 어렵다

겉모습을 주로 보고 측정하기 때문에 서베이법과 같이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와 같이 내면을 측정하기는 어렵습니다.

2) 관찰법으로 사적인 영역까지 조사하는 것은 어렵다.

예를 들어 소변 및 대변을 볼 때의 습관과 같이 매우 사적인 영역을 관찰법으로 조사하기란 어렵습니다. 조사 대상자의 합의도 이루어내기 힘들 뿐더러, 프라이버시 문제도 발생할 수 있어요.

3) 관찰법으로는 일반화가 어렵다 (소수를 대상으로 하므로)

큰 표본 집단을 대상으로 할 수 있는 서베이법에 비해서 관찰법은 소수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화가 어렵습니다.

관찰법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요?

직접관찰과 간접 관찰

직접관찰간접관찰
행동이 일어나는 시점에 직접 관찰하는 것을 말합니다.예를 들어 편의점에서 물건이 판매될때마다 숫자를 센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행동이 일어난 후, 나중에 간접적으로 관찰하는 것을 말합니다.예를 들어 편의점이 문을 닫고 나서 포스기에 있는 데이터를 통해 얼마나 팔렸나 숫자를 세는 것을 말합니다.

공개여부에 따른 분류: 공개적 관찰과 비공개적 관찰

공개적 관찰간접관찰
관찰 대상자가 자신이 관찰을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상태에서 관찰하는 것을 말합니다. 단, 이런 경우에 관찰 대상자가 평소와 다르게 행동을 할 수도 있어요.관찰 대상자가 자신이 관찰당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상태에서 관찰하는 것을 말합니다. 좀 더 솔직한 행동을 유도할 수 있겠죠. (미스테리 쇼퍼가 그 예입니다.)

정형화에 따른 분류: 정형화된 관찰과 비정형화된 관찰

정형화된 관찰비정형화된 관찰
사전에 준비된 관찰 방식, 가이드라인에 따라 정확하게 관찰하는 것을 말합니다. 관찰할 내용과 어떻게 할 것인지가 정확하게 정해져있죠.조사자의 편견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지만, 타당도가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비정형화된 관찰은, 관찰 방식, 무엇을 할 것인지? 가 정확히 정해져 있지 않고 일단 무작정 관찰을 하는 것을 말해요. 조사자 개인의 의견에 따라 조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요소가 많이 개입될 수도 있어요.

자연상태 관찰과 인위적 상황 관찰

자연상태 관찰인위적 상황 관찰
인위적 조작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사대상자의 행동을 관찰합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초원에서 사자무리들의 행동들을 자연그대로 관찰하는 것을 말합니다.조사를 위해 인위적인 상황을 연출해서 이러한 상황에서 조사 대상자의 행동패턴을 관찰하는 것을 말해요.예를 들어, 배고픈 사자 앞에 카피바라가 있다면 사자는 카피바라를 공격할 것인가?를 조사하기 위해 사자를 굶기고, 카피바라를 사자 앞에 놓는 상황을 연출할 수 있겠습니다.

인적관찰과 기계적 관찰

인적관찰기계적 관찰
말그대로 사람이 직접 관찰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조사자는 숙련되어 있어야 하며 조사 목적을 정확히 인지해야 합니다.기계에 의한 관찰을 말하며, 객관적이고 정확한 자료 수집이 가능합니다. 마케팅 툴 중에 웹사이트 어느쪽을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보는지 측정하는 heat map도 일종의 기계적 관찰의 예시라고 할 수 있어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1차 자료 조사방법 중 가장 중요한 실험법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

Share This Article

Related Post

기술조사, 인과관계조사, 횡단조사, 종단조사 에 대해서 알아보자!

기술조사, 인과관계조사, 횡단조

조사 설계 ​ 조사 설계는 조사 목적...

마케팅 믹스 4P, 제품 믹스, 브랜드, 제품 퇴진 전략

마케팅 믹스 4P, 제품 믹스, 브랜드

1. 제품믹스 (제품의 넓이, 길이, 깊이) ...

마케팅 믹스의 제품 수명주기 별 마케팅 전략 예시 & 이론

마케팅 믹스의 제품 수명주기 별

​ ​제품 수명 주기 개요 ​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