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서식, 문서, 다운로드 사이트 위폼

Docly

재화의 판매 (다양한 시점에 대한 수익 인식 기준)

Estimated reading: 0 minutes 0 views

재화의 판매와 관련하여 다양한 시점에서 수익을 인식하는 기준은 상품의 특성과 판매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각 상황별로 수익 인식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1. 위탁판매: 수익은 위탁자에게 최종 판매가 이루어진 시점에 인식됩니다. 즉, 상품이 실제로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그 수익이 위탁자에게 전달되었을 때 인식합니다.
  2. 시용판매: 시용 기간이 종료되고 고객이 상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했을 때 수익을 인식합니다. 고객이 반품할 경우, 시용 기간 동안은 수익을 인식하지 않습니다.
  3. 장기할부판매: 할부 기간 동안 받은 각 할부금에 대응되는 수익을 인식합니다. 이때 이자수익과 상품 판매 수익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습니다.
  4. 반품조건부판매:
  • 반품예상액 추정 가능: 판매 시점에 반품 예상액을 공제한 수익을 인식합니다.
  • 반품예상액 추정 불가능: 반품 가능성이 낮아 확실하게 추정할 수 있을 때까지 수익을 인식하지 않습니다.
  1. 설치조건부판매: 설치가 완료되고 고객이 제품을 최종적으로 수락했을 때 수익을 인식합니다.
  2. 검수조건부판매: 고객이 제품을 검수하고 최종적으로 수락했을 때 수익을 인식합니다.
  3. 상품권: 상품권이 사용되거나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을 때 수익을 인식합니다.
  4. 설치용역수수료: 설치 작업이 완료되고 고객이 서비스를 수락했을 때 수익을 인식합니다.
  5. 수강료: 수강 기간에 따라 수익을 균등하게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수강 기간이 3개월이라면, 각 달에 걸쳐 수강료의 일정 부분을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6. 주문개발소프트웨어: 개발이 완료되고 소프트웨어가 고객에게 전달되었을 때 수익을 인식합니다.
  7. 출판물, 구독: 구독 기간 동안 균등하게 수익을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연간 구독료는 12개월에 걸쳐 인식됩니다.
  8. 3자가 보상을 제공할 경우: 3자로부터 실제로 보상을 받은 시점에 수익을 인식합니다.

각 경우별로 수익 인식의 시점과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회계 기준과 회사 정책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Leave a Comment

공유하기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