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서식, 문서, 다운로드 사이트 위폼

Docly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정액법,정률법,연수합계법,이중체감법,생산량비례법) 회계처리

Estimated reading: 1 minute 0 views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이란?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이란, 기업이 비용으로 지불한 큰 금액의 자산(예: 컴퓨터, 기계, 차량 등)의 가치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줄어드는 것을 회계상으로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자산이 오래 사용됨에 따라 조금씩 ‘노후화’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10,000달러에 컴퓨터 시스템을 구입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이 컴퓨터의 유용한 사용 기간을 5년으로 예상한다면, 회계상으로는 이 10,000달러를 5년 동안 균등하게 분배하여 각 해에 2,000달러씩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이렇게 매년 일정 금액을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을 ‘감가상각’이라고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기업은 컴퓨터를 구매한 초기 비용을 바로 모두 지출하는 대신, 사용 기간에 걸쳐 비용을 분배함으로써 더 공정하고 정확한 재무 상태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을 하는 주된 이유는 비용과 수익을 시간에 따라 공정하게 매칭시키기 위함입니다.

감가상각하지 않는 유형자산:

  1. 토지: 일반적으로 토지는 시간이 지나도 가치가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토지는 감가상각 대상이 아닙니다.
  2. 건설중인 자산(Construction in Progress, CIP): 아직 사용 준비가 완료되지 않은 건설 중인 건물이나 설비는 사용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감가상각되지 않습니다.
  3. 골동품: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기보다는 오히려 증가할 수 있는 예술작품이나 골동품도 감가상각되지 않습니다.

감가상각 비 처리:

  1. 당기손익 처리: 감가상각 비용은 당기의 손익계산서에서 비용으로 처리됩니다. 이는 해당 기간 동안 사용된 자산의 비용 부분을 반영합니다.
  2. 감가상각 누계액: 각 기간 동안의 감가상각 비용은 유형자산의 원래 취득 금액에서 차감되어 감가상각 누계액을 형성합니다. 이는 자산의 총 감가상각 금액을 나타냅니다.
  3. 장부금액(Net Book Value): 유형자산의 취득 원가에서 감가상각 누계액을 차감한 잔액을 장부금액이라고 합니다. 이는 회계 기록에 남아 있는 자산의 가치를 나타내며, 실제 시장 가치와 다를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은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다 정확하게 만들고, 자산의 실제 사용 상태를 반영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감가상각을 통해 기업은 자산의 비용을 그 자산의 유용 생활 동안에 걸쳐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습니다.

정액법

감가상각 비용 = (취득 원가 – 잔존 가치) / 내용연수

정액법(Straight-Line Method)은 가장 기본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감가상각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에서, 유형자산의 취득 원가에서 잔존가치를 뺀 금액을 자산의 예상 사용 기간 동안 균등하게 분배합니다.

정액법의 계산 방식:

  1. 감가상각 비용 계산:
  • 감가상각 비용 = (취득 원가 – 잔존 가치) / 내용연수
  • 여기서 “취득 원가”는 자산을 구매하고 사용 준비를 완료하기까지 지출된 총 금액입니다.
  • “잔존 가치”는 자산의 예상 사용 기간이 끝난 후에도 자산이 아직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치입니다.
  • “내용연수”은 자산이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입니다.
  1. 분배:
  • 계산된 감가상각 비용은 매년 동일하게 자산의 비용으로 분배됩니다. 예를 들어, 유용 생활이 5년인 자산에 대해 계산된 연간 감가상각 비용은 매년 같은 금액이 됩니다.

정액법의 특징 및 장단점:

장점:

  • 계산이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습니다.
  • 회계 기간에 따른 감가상각 비용이 일정하여, 재무제표의 변동성이 적습니다.

단점:

  • 자산의 실제 가치 감소 패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제로는 자산의 사용 초기에 더 많은 가치가 감소할 수 있지만, 정액법에서는 이를 반영하지 못합니다.
  • 자산의 유지보수 비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할 수 있으나, 감가상각 비용은 균등하기 때문에, 이러한 비용 증가를 재무제표상에서 직접적으로 반영하지 않습니다.

예시:

10만 달러의 취득 원가를 가진 기계가 있고, 잔존 가치가 10,000달러, 유용 생활이 10년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정액법에 따라 계산된 연간 감가상각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감가상각 비용 = (100,000달러 – 10,000달러) / 10년 = 9,000달러
    매년, 이 기계의 감가상각 비용으로 9,000달러가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정액법은 그 단순성과 예측 가능성 때문에 많은 기업에서 선호하는 감가상각 방법입니다.

회계처리
기계장치 (자산+) XX / 현금 XX
감가상각비 (비용+) XX / 감가상각누계액 XX 
감가상각비 (비용+) XX / 감가상각누계액 XX 
감가상각비 (비용+) XX / 감가상각누계액 XX 

정률법

감가상각 비용 = 취득원가 – 전기말까지의 감가상각누계액 × 감가상각율

정률법(Declining Balance Method)은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을 처리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자산의 장부가액(취득 원가에서 이전의 누적 감가상각액을 차감한 금액)에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감가상각 비용을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자산의 가치가 사용 초기에 더 빨리 감소한다고 가정하며, 따라서 초기 몇 년 동안 더 높은 감가상각 비용을 인식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가상각 비용이 감소합니다.

정률법의 계산 방식:

  1. 감가상각 비용 계산:
  • 감가상각 비용 = 취득원가 – 전기말까지의 감가상각누계액 × 감가상각율
  • 여기서 “장부가액”은 각 회계 기간 시작 시의 자산 가치입니다.
  • “감가상각율”은 사용 기간, 자산의 예상 수명, 그리고 자산 가치가 감소하는 속도를 기반으로 결정됩니다.
  1. 비율 설정:
  • 감가상각율은 보통 자산의 유용 생활을 기반으로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유용 생활이 5년인 자산의 경우 2배수의 정률법을 사용한다면, 연간 감가상각율은 40%(100% ÷ 5년 × 2)가 됩니다.

정률법의 특징 및 장단점:

  • 장점:
  • 실제 자산 가치의 감소 패턴과 더 잘 일치할 수 있습니다(특히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에서).
  • 초기 비용을 빠르게 회수할 수 있어, 세금 혜택을 빠르게 얻을 수 있습니다.
  • 단점:
  •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가상각 비용이 감소하기 때문에, 나중에는 비용 인식이 적어집니다.
  • 잔존 가치가 고려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산이 완전히 상각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시:

장부가액이 10만 달러인 기계가 있고, 감가상각율이 연간 20%라고 가정해 봅시다. 첫 해의 감가상각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감가상각 비용 = 100,000달러 × 20% = 20,000달러
    그 다음 해의 장부가액은 80,000달러(100,000달러 – 20,000달러)가 되고, 감가상각 비용은 이 장부가액에 다시 20%를 적용하여 계산됩니다.

정률법은 특히 기술 변화가 빠르거나 자산의 사용 초기에 가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에 적합한 감가상각 방법입니다.

연수합계법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치 X 잔여내용연수/내용연수합계

연수합계법(Sum-of-the-Years’-Digits Method, SYD)은 감가상각 방법의 하나로, 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빠르게 감소하는 것을 반영합니다. 이 방법은 자산의 유용 생활 동안 감가상각 비용을 가속화하여 인식하되, 정률법보다는 덜 급격한 방식으로 감소시킵니다. 연수합계법은 자산의 초기 몇 년 동안 높은 감가상각 비용을 배분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시키는 방식입니다.

연수합계법의 계산 방식:

  1. 연수합계 계산:
  • 자산의 유용 생활을 기준으로 연수의 합계를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자산의 유용 생활이 5년이라면, 연수합계는 5 + 4 + 3 + 2 + 1 = 15입니다.
  1. 감가상각 비용 계산:
  • 각 회계년도의 감가상각 비용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취득 원가 – 잔존 가치) × (남은 연수 / 연수합계).
  • 여기서 “남은 연수”는 해당 연도에서 자산의 남은 사용 연수입니다.

연수합계법의 특징 및 장단점:

  • 장점:
  • 초기 몇 년 동안 더 많은 감가상각 비용을 인식할 수 있어, 자산의 실제 가치 감소 패턴을 잘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정률법보다는 덜 급격한 감가상각 패턴을 제공합니다.
  • 단점:
  • 계산이 정액법보다 복잡합니다.
  • 잔존 가치가 0에 가까울 경우, 유용 생활의 끝에 자산이 완전히 상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시:

유용 생활이 5년인 기계가 있고, 취득 원가가 10만 달러, 잔존 가치가 10,000달러라고 가정해 봅시다. 연수합계는 15입니다.

첫 해 감가상각 비용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감가상각 비용 = (100,000달러 – 10,000달러) × (5/15) = 30,000달러
    두 번째 해에는:
  • 감가상각 비용 = (100,000달러 – 10,000달러) × (4/15) = 24,000달러
    그리고 이런 식으로 계속됩니다.

연수합계법은 특히 자산의 가치가 사용 초기에 더 빨리 감소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유용한 감가상각 방법입니다.

이중체감법 (Double Declining Balance Method)

감가상각비 – 전기말까지의 감가상각누계액 X 2 / 내용연수

이중체감법은 감소잔액법(Declining Balance Method)의 일종으로, 자산의 유용 생활 기간 동안 감가상각 비용을 가속화하여 인식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에서는 자산의 장부가액에 고정된 비율(보통 직선법 감가상각율의 두 배)을 적용하여 감가상각 비용을 계산합니다. 초기 몇 년 동안 더 높은 감가상각 비용을 인식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가상각 비용이 감소합니다.

계산 방식:

  1. 직선법 감가상각율을 계산합니다: 1 / 유용 생활 (예: 5년 유용 생활 = 20% 연간 감가상각율).
  2. 이중체감법에서 사용될 비율을 결정합니다 (직선법의 두 배, 예: 20% × 2 = 40%).
  3. 매년 장부가액에 이 비율을 적용하여 감가상각 비용을 계산합니다.

특징:

  • 초기에 높은 감가상각 비용을 인식하여, 자산의 가치 감소를 빠르게 반영합니다.
  • 잔존 가치를 고려하지 않고 감가상각을 진행하지만, 잔존 가치보다 장부가액이 낮아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생산량 비례법 (Units of Production Method)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치 X (당기생산량 / 예상되는 총생산량)

생산량 비례법은 자산의 사용량 또는 생산량에 기반하여 감가상각 비용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자산의 사용 또는 생산이 시간이 아니라 작업량에 더 밀접하게 연관된 경우에 적합합니다.

계산 방식:

  1. 감가상각 비용 단위를 계산합니다: (취득 원가 – 잔존 가치) / 총 예상 생산량 또는 사용량.
  2. 실제 사용량 또는 생산량에 단위 감가상각 비용을 곱하여 해당 기간의 감가상각 비용을 계산합니다.

특징:

  • 자산의 실제 사용 또는 생산량에 따라 감가상각 비용을 인식하기 때문에, 사용량이 많은 해에는 더 많은 감가상각 비용이 발생합니다.
  • 자산의 실제 사용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어, 자산의 사용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적합한 방법입니다.

두 방법 모두 감가상각의 목적과 환경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과 적용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Leave a Comment

공유하기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