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서식, 문서, 다운로드 사이트 위폼

Docly

관계비율 분석 – 시장가치비율 분석

Estimated reading: 1 minute 0 views

시장가치비율 분석은 기업의 주식 시장 가치와 관련된 재무 비율을 통해 투자자들이 기업의 투자 매력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비율은 주식의 가격이 기업의 실제 재무 성과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여기서 언급한 시장가치비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주당순이익 (Earnings Per Share, EPS)

  • 계산 방법: EPS = 순이익 / 발행주식수
  • 해석: 주당순이익은 한 주당 기업이 창출하는 평균 이익을 나타냅니다. 투자자들은 EPS를 사용하여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합니다.

2. 주당 순자산 (Net Asset Value Per Share, NAVPS)

  • 계산 방법: NAVPS = 자기자본 / 발행주식수
  • 해석: 주당 순자산은 한 주당 기업의 순자산 가치를 나타냅니다. 이는 기업의 자산 가치를 주식으로 환산한 것입니다.

3. 주당 순매출 (Sales Per Share, SPS)

  • 계산 방법: SPS = 총매출 / 발행주식수
  • 해석: 주당 순매출은 한 주당 기업의 매출액을 나타냅니다. 이 비율은 기업의 매출 규모를 주식 수로 환산하여 표시합니다.

4. 주가수익비율 (Price to Earnings Ratio, P/E)

  • 계산 방법: P/E = 주가 / EPS 주당순이익
  • 해석: 주가수익비율은 현재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높은 P/E 비율은 투자자들이 미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5. 주가순자산비율 (Price to Book Ratio, P/B)

  • 계산 방법: P/B = 주가 / NAVPS 주당순자산
  • 해석: 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가 주당 순자산 가치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기업의 시장 가치와 실제 자산 가치의 비교를 가능하게 합니다.

6. 토빈의 q비율 (Tobin’s Q Ratio)

  • 계산 방법: 토빈의 q = (시장가치 + 부채) / 자산의 재조달 비용 // 시장가치 / 기업의실물자산대채원가
  • 해석: 토빈의 q비율은 기업의 시장 가치가 그 기업이 보유한 자산의 재조달 비용에 비해 얼마나 큰지를 나타냅니다. q비율이 1보다 크면, 시장이 기업의 자산을 그 재조달 비용 이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7. 주가순매출비율 (Price to Sales Ratio, P/S)

  • 계산 방법: P/S = 주가 / SPS
  • 해석: 주가순매출비율은 주가가 주당 매출액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매출 대비 주식의 시장 가치를 평가합니다.

8. 주가현금흐름비율 (Price to Cash Flow Ratio, P/CF)

  • 계산 방법**: P/CF = 주가 / 주당현금흐름
  • 해석: 주가현금흐름비율은 주가가 주당 현금흐름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에 대한 주가의 평가를 나타냅니다.

9. 배당성향 (Dividend Payout Ratio)

  • 계산 방법: 배당성향 = (주당 배당금 / EPS 주당순이익) × 100
  • 해석: 배당성향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 얼마나 많은 비율을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지급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시장가치비율 분석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시장 성과와 재무 성과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러한 비율을 통해, 기업의 주식이 과대평가되었는지, 아니면 저평가되었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

공유하기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