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서식, 문서, 다운로드 사이트 위폼

Docly

손익분기점 판매량, 매출액 공식 (목표 달성의 경우, 법인세 있는 경우)

Estimated reading: 1 minute 0 views

손익분기점이란?

손익분기점 판매량 공식

손익분기점 판매량을 계산하는 공식, 즉 총고정원가를 단위당 공헌이익으로 나누는 공식은 기업이 이익도 손실도 발생하지 않는 판매 수량의 수준을 찾는 데 사용됩니다. 이 공식은 손익분기점 매출액 공식과 유사한 원리를 바탕으로 하지만, 여기에서는 판매량에 초점을 맞춥니다.

핵심 개념 이해

  • 고정원가(Fixed Costs): 생산량이나 판매량에 관계없이 변하지 않고 일정한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임대료, 급여, 보험료 등이 있습니다.
  • 단위당 공헌이익(Unit Contribution Margin): 한 단위 제품 판매로 얻는 이익으로, 이는 단위당 판매 가격에서 단위당 변동원가를 뺀 금액입니다.

공식 이해

손익분기점 판매량 = 총고정원가 / 단위당 공헌이익

이 공식의 핵심은 기업이 손익분기점에 도달하기 위해 판매해야 하는 최소한의 제품 수량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논리적 이해

  1. 고정원가 충당: 기업의 목표 중 하나는 운영을 시작할 때 발생하는 고정원가를 충당하는 것입니다. 이익을 내기 위해서는 먼저 이러한 비용을 판매로부터 얻은 수익으로 커버해야 합니다.
  2. 제품 판매와 이익 기여: 제품을 판매할 때마다, 그 판매로 인한 이익(공헌이익)이 고정원가를 충당하는 데 기여합니다.
  3. 판매량 계산: 고정원가를 단위당 공헌이익으로 나누면, 기업이 고정원가를 정확히 커버하고 손익분기점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제품의 판매량을 알 수 있습니다.

예시

고정원가가 $10,000이고, 단위당 공헌이익이 $25라면,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400개입니다. ($10,000 / $25 = 400). 이는 기업이 고정원가를 충당하기 위해 400개의 제품을 판매해야 하며, 그 이상 판매되는 모든 제품은 이익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공식을 이해하고 사용함으로써, 기업은 수익성을 달성하기 위해 달성해야 할 구체적인 판매 목표를 설정할 수 있고, 가격 책정 전략이나 비용 관리 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습니다.

손익분기점 매출액 공식

손익분기점 매출액을 계산하는 공식, 즉 총고정원가를 공헌이익율로 나누는 공식은 기업이 이익도 손실도 발생하지 않는 매출액의 수준을 찾는 데 사용됩니다. 이 공식을 논리적이고 쉽게 이해하기 위해, 우선 몇 가지 핵심 개념을 살펴봅시다:

핵심 개념 이해

  • 고정원가(Fixed Costs): 매출량에 관계없이 변하지 않고 일정한 비용. 예를 들어, 임대료, 급여, 보험료 등이 있습니다.
  • 공헌이익(Marginal Contribution): 판매된 제품 하나 당 기여하는 이익으로, 판매 가격에서 변동원가(제품을 만드는 데 드는 원료비, 노동비 등)를 뺀 금액입니다.
  • 공헌이익율(Marginal Contribution Ratio): 공헌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로, 판매된 제품 하나가 전체 매출에서 얼마나 이익에 기여하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냅니다.

공식 이해

손익분기점 매출액 = 총고정원가 / 공헌이익율

이 공식의 핵심은 기업이 고정원가를 모두 충당하고 손익분기점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매출액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논리적 이해

  1. 고정원가 충당: 기업이 운영을 시작하면 고정원가는 이미 지출되어 있습니다. 이익을 내기 위해서는 먼저 이 고정원가를 매출을 통해 충당해야 합니다.
  2. 제품 판매와 이익 기여: 제품을 판매할 때마다, 판매 가격에서 변동원가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공헌이익)이 고정원가 충당에 기여합니다.
  3. 공헌이익율의 역할: 공헌이익율은 제품 판매가 전체 매출에서 고정원가를 충당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나타냅니다. 높은 공헌이익율은 더 적은 매출로도 고정원가를 빠르게 충당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4. 손익분기점 매출액 계산: 고정원가를 공헌이익율로 나누면, 그 결과값은 기업이 고정원가를 정확히 충당하고 손익분기점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전체 매출액을 나타냅니다. 이 매출액 이상으로 판매하면 기업은 이익을, 이보다 적게 판매하면 손실을 보게 됩니다.

예시

고정원가가 $10,000이고 공헌이익율이 40%라면,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25,000입니다. ($10,000 / 0.4 = $25,000). 즉, $25,000의 매출을 달성하면, 이익도 손실도 없는 상태가되며, 이를 초과하는 모든 매출은 순이익으로 이어집니다.

이 공식을 통해 기업은 최소한의 목표 매출액을 설정할 수 있고, 이익을 내기 위해 필요한 매출 성장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목표 이익, 목표 판매량이 있는 경우 손익분기점 판매량, 손익분기점 매출액 공식

목표 이익이 있는 경우의 손익분기점 판매량과 손익분기점 매출액을 계산하기 위해, 기본적인 손익분기점 계산 공식에 목표 이익을 추가합니다. 이렇게 하면 기업이 단순히 손익분기점을 넘어 특정 금액의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판매량이나 매출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목표 판매량 계산 (목표 이익 포함)

목표 판매량은 기업이 특정 금액의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판매해야 하는 제품의 수량을 나타냅니다.

  • 총고정원가: 생산량이나 판매량에 관계없이 변하지 않는 비용
  • 목표 이익: 달성하고자 하는 이익 금액
  • 단위당 공헌이익: 제품 한 단위를 판매할 때마다 발생하는 이익(단위 판매가격 – 단위당 변동비용)

목표 매출액 계산 (목표 이익 포함)

목표 매출액은 기업이 특정 금액의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총 매출액을 나타냅니다.

  • 총고정원가: 위와 동일
  • 목표 이익: 위와 동일
  • 공헌이익율: 전체 매출액에서 변동비용을 뺀 후, 남은 금액의 비율 (공헌이익 / 매출액)

예시

고정원가가 $10,000이고, 단위당 공헌이익이 $25, 목표 이익이 $5,000일 경우:

  • 목표 판매량은 ( \frac{10,000 + 5,000}{25} = 600 )개가 됩니다.

만약 공헌이익율이 40%이고, 동일한 고정원가와 목표 이익을 가지고 있다면:

  • 목표 매출액은 ( \frac{10,000 + 5,000}{0.4} = \$37,500 )가 됩니다.

이 공식들을 사용하여 기업은 특정 이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판매량과 매출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격 책정, 비용 관리 전략 수립, 판매 목표 설정 등 다양한 비즈니스 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법인세가 있는 경우 세후 목표이익 손익분기점 판매량, 매출액 공식

법인세가 포함된 경우 세후 목표 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손익분기점 판매량 및 매출액을 계산할 때, 목표 이익을 세전 이익으로 변환한 후 기존의 손익분기점 공식을 적용해야 합니다. 세전 이익은 세후 이익에 (1 – 법인세율)을 곱하여 얻은 값의 역산으로 계산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실제로 필요한 목표 매출액과 판매량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세후 목표 이익을 위한 손익분기점 판매량

  1. 세후 목표 이익을 세전 이익으로 변환: 세후 목표 이익에 (1 – 법인세율)의 역산을 적용합니다. ( \text{세전 목표 이익} = \frac{\text{세후 목표 이익}}{1 – \text{법인세율}} )
  2. 세전 목표 이익을 포함한 손익분기점 판매량 계산: ( \text{손익분기점 판매량 (세후 목표 이익)} = \frac{\text{총고정원가} + \text{세전 목표 이익}}{\text{단위당 공헌이익}} )

세후 목표 이익을 위한 손익분기점 매출액

  1. 세후 목표 이익을 세전 이익으로 변환: 위의 공식을 사용합니다.
  2. 세전 목표 이익을 포함한 손익분기점 매출액 계산: ( \text{손익분기점 매출액 (세후 목표 이익)} = \frac{\text{총고정원가} + \text{세전 목표 이익}}{\text{공헌이익율}} )

예시

고정원가가 $10,000, 단위당 공헌이익이 $25, 법인세율이 20%, 그리고 세후 목표 이익이 $5,000인 경우:

  1. 세전 목표 이익 계산: ( \text{세전 목표 이익} = \frac{5,000}{1 – 0.2} = \$6,250 )
  2. 손익분기점 판매량 계산: ( \text{손익분기점 판매량} = \frac{10,000 + 6,250}{25} = 650 )개
  3. 공헌이익율이 40%일 경우, 손익분기점 매출액 계산: ( \text{손익분기점 매출액} = \frac{10,000 + 6,250}{0.4} = \$40,625 )

이 예시를 통해, 법인세 고려 후 실제 필요한 손익분기점 매출액과 판매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세후 이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확한 매출 목표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Leave a Comment

공유하기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