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서식, 문서, 다운로드 사이트 위폼

Docly

창의성 측정 및 개발 방법 (토란스, 원격연상물, 고든법, 브레인스모팅, 브레인라이팅업)

Estimated reading: 1 minute 0 views

창의성 측정 방법

경영학 분야에서 창의력을 측정하는 데에는 여러 방법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토란스 검사법(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과 원격연상물 검사법(Remote Associates Test, RAT)은 특히 주목받고 있습니다. 각각의 방법은 창의력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하는 데에 중점을 둡니다.

토란스 검사법 (TTCT)

그림을 보여준 후, 해석을 하게 합니다.

토란스 검사법은 심리학자 엘리스 폴 토란스(Ellis Paul Torrance)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이 방법은 개인의 창의적 사고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구체적으로는 유창성(fluidity), 유연성(flexibility), 독창성(originality), 그리고 정교함(elaboration)의 네 가지 주요 창의력 구성요소를 측정합니다.

  • 유창성: 주어진 시간 안에 많은 아이디어를 생각해 낼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 유연성: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합니다.
  • 독창성: 보통 사람들이 떠올리지 못하는 새롭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생각해 낼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 정교함: 아이디어나 제품을 세부적으로 발전시키고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합니다.

TTCT는 그림 작성 및 구술 작성의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되며, 개인의 창의적 잠재력을 폭넓게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원격연상물 검사법 (RAT)

유사한 것 끼리 제시하여 새로운 조합을 유도하거나 공통점을 찾게 합니다.

원격연상물 검사법은 창의력의 다른 측면을 측정합니다. 이 검사는 참가자에게 서로 관련성이 적어 보이는 세 개의 단어를 제공하고, 이 단어들을 연결하는 단일 단어를 찾아내는 과제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시간”, “선”, “손”이라는 단어가 주어졌을 때, 이 세 단어를 연결하는 단어로 “시계”를 생각해 낼 수 있어야 합니다.

RAT는 참가자의 연상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여, 주어진 정보를 이해하고 새로운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창의력의 측면을 측정합니다. 이 검사는 유창성보다는 독창성과 문제 해결 능력에 더 중점을 둡니다.

결론

이 두 검사 방법은 창의력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하며, 경영학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토란스 검사법은 창의적 사고의 넓은 범위를 평가하는 반면, 원격연상물 검사법은 특정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초점을 맞춥니다. 각 검사는 창의력의 복잡한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창의력 개발 방법

창의력 개발 방법에는 다양한 기법이 있으며, 여기서 언급된 자유연상법(고든법, 브레인스토밍), 브레인라이팅, 명목집단법, 델파이법은 각각 창의적 사고와 아이디어 생성을 촉진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입니다. 이들 방법은 개인 또는 집단의 창의력을 개발하고, 문제 해결 및 혁신적인 아이디어 생성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자유연상법 (고든법, 브레인스토밍)

  • 고든법: 이 방법은 고든 월리스(Gordon Wallace)가 개발한 것으로, 문제와 관련된 직접적인 언급 없이 관련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연상하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참여자들이 문제에 대한 편견 없이 새로운 관점에서 아이디어를 탐색하도록 돕습니다. 고든법은 문제를 간접적으로 접근하여 창의적 해결책을 찾는 데 유용합니다.
  • 브레인스토밍: 알렉스 오스본(Alex Osborn)에 의해 개발된 이 기법은 집단 내에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발산하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비판 없이 많은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것이 목표이며, 이후에 이 아이디어들을 평가하고 정제합니다. 브레인스토밍은 창의적 문제 해결과 혁신적 아이디어 생성에 널리 사용됩니다.

브레인라이팅 (서면)

브레인라이팅은 브레인스토밍과 유사하지만, 구두 대신 서면으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참여자들은 각자의 아이디어를 종이에 적어 순환시키며,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보고 이를 발전시키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추가합니다. 이 과정은 몇 차례 반복되며, 아이디어의 양과 질을 증가시키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브레인라이팅은 참가자들에게 익명성을 제공하여 자유로운 아이디어 제시를 장려합니다.

명목집단법 (동등한 아이디어)

명목집단법(Nominal Group Technique, NGT)은 구조화된 집단 회의 기법으로, 모든 참가자가 아이디어를 동등하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방법은 우선 개별적으로 아이디어를 생성한 후, 집단으로 모여 각자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토론합니다. 마지막으로, 아이디어에 대해 투표를 실시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NGT는 참가자 간의 소통을 증진시키고 집단 내 소외감을 줄이며, 더 다양하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델파이법 (전문가)

델파이법은 익명의 전문가 집단을 활용하여 복잡한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시스템화된 커뮤니케이션 기법입니다. 이 과정은 여러 라운드에 걸쳐 진행되며, 각 라운드에서는 전문가들이 제시한 의견과 피드백을 바탕으로 설문지가 수정 및 개선됩니다. 이를 통해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고, 문제에 대한 가장 적합한 해결책을 찾아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델파이법은 주로 미래 예측, 정책 결정, 기술 발전 등에 활용됩니다.

이러한 창의력 개발 방법들은 각각 특정 상황이나 목적에 적합하며, 문제 해결과 아이디어 생성 과정에서 다양한 관점과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Leave a Comment

공유하기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