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법과 표준화 면접, 비표준화면접 반표준화 면접
면접법은 연구자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직접 대상과 대화를 나누는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입니다. 면접을 통해, 연구자는 참여자의 경험, 태도, 가치, 신념 등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으며, 특히 복잡한 사회적 현상이나 개인의 내면적 경험을 탐구하는 데 유용합니다. 면접법은 그 형태에 따라 크게 표준화 면접(Standardized Interview), 비표준화 면접(Non-standardized Interview), 반표준화 면접(Semi-standardized Interview)으로 나뉩니다.
표준화 면접 (Standardized Interview)
- 정의: 모든 면접 대상자에게 동일한 질문을 동일한 순서로 제시하는 면접 방식입니다. 질문의 형태와 순서, 면접관의 행동까지도 사전에 정해져 있습니다.
- 장점:
- 데이터의 일관성과 비교 가능성이 높습니다.
- 표준화된 접근 방식은 연구 결과의 객관성을 높여줍니다.
- 단점:
- 면접 과정의 유연성이 제한됩니다.
- 참여자의 개별적인 경험이나 관점을 깊이 있게 탐구하기 어렵습니다.
비표준화 면접 (Non-standardized Interview)
- 정의: 면접 질문이나 순서가 사전에 정해져 있지 않고, 면접관이 상황에 따라 질문을 조정하며 대화를 이끄는 방식입니다.
- 장점:
- 면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참여자의 개별적인 경험과 관점을 보다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면접자 간의 일관성이 떨어져 데이터의 비교가 어렵습니다.
- 연구자의 주관이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반표준화 면접 (Semi-standardized Interview)
- 정의: 면접 질문 중 일부는 사전에 준비되어 있지만, 면접관이 대화의 흐름에 따라 추가 질문을 하거나 질문 순서를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면접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면접 구조화 정도가 중간 정도인 면접으로, 연구자가 필요에 따라 면접 과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장점:
- 데이터의 일관성과 참여자의 개별적인 경험을 모두 포착할 수 있는 균형을 제공합니다.
- 연구자가 면접 과정에서 유연하게 대응하면서도 핵심 주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표준화 면접에 비해 데이터 분석 과정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 비표준화 면접에 비해 참여자의 응답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각 면접법은 연구 목적과 질문, 대상 집단의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야 합니다
. 연구자는 연구의 목표와 연구 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면접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