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서식, 문서, 다운로드 사이트 위폼

Docly

동기부여 과정이론 (브룸의 기대이론, 아담스의 공정성이론, 로크 목표설정이론)

Estimated reading: 1 minute 0 views

동기부여 과정이론은 개인의 동기부여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과정을 통해 동기가 구체적인 행동으로 변환되는지 설명합니다. 여기에는 브룸의 기대이론, 아담스의 공정성이론, 로크의 목표설정이론, 그리고 포터와 롤러의 기대이론이 포함됩니다. 이 이론들은 각각 독특한 관점을 제공하며, 동기부여의 복잡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브룸의 기대이론 (Victor Vroom)

브룸의 기대이론은 개인이 특정 행동을 선택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이 이론은 세 가지 주요 요소, 즉 기대(expectancy), 도구성(instrumentality), 그리고 가치(valence)에 기반합니다.

  • 기대: 개인이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는 정도입니다. 즉, 노력이 성과를 낼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 도구성: 성과가 보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개인이 믿는 정도입니다. 특정 성과가 원하는 보상을 얻는데 도움이 될 것인가에 대한 인식입니다.
  • 가치: 보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가치입니다. 보상이 개인에게 얼마나 매력적인가를 나타냅니다.

이 이론은 개인이 높은 성과를 낼 것이라고 기대하고, 그 성과가 가치 있는 보상으로 이어질 것이라 믿을 때 가장 동기부여가 된다고 제안합니다.

아담스의 공정성이론 (J. Stacy Adams)

아담스의 공정성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업무에 대한 보상을 동료의 보상과 비교함으로써 공정성을 평가한다고 설명합니다. 이 이론은 입력(노력, 능력, 시간 등)과 출력(급여, 인정, 승진 등)의 비율을 통해 이루어지는 비교에 초점을 맞춥니다.

  • 개인은 자신의 입력 대 출력 비율을 동료의 비율과 비교합니다.
  • 비교 결과가 불공정하다고 느낄 경우, 불쾌감이나 불만이 생기고, 이는 동기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조직 내 공정성의 유지는 직원의 만족도와 동기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로크의 목표설정이론 (Edwin Locke)

로크의 목표설정이론은 구체적이고 도전적인 목표가 높은 성과로 이어진다고 주장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목표는 행동의 방향을 제시하고, 노력을 집중시키며, 지속적인 노력을 유도합니다.

  • 목표는 명확하고, 측정 가능하며, 달성 가능해야 합니다.
  • 도전적인 목표는 개인을 더 동기부여하고, 결과적으로 더 높은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 목표 달성 과정에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며, 개인이 자
  • 신의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조정할 수 있게 합니다.

포터와 롤러의 기대이론 (Lyman W. Porter and Edward E. Lawler)

포터와 롤러의 기대이론도 브룸의 기대이론과 유사하게, 개인의 노력, 성과, 그리고 보상 간의 관계를 설명합니다. 하지만, 이 이론은 개인의 만족도도 고려하며, 성과 이후의 보상이 개인의 노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다룹니다.

  • 이 이론은 보상이 개인의 기대치를 충족시키거나 초과할 때, 더 큰 만족도와 더 높은 노력 수준으로 이어진다고 제안합니다.
  • 또한, 개인이 자신의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확신을 가질 때, 그리고 그 성과가 가치 있는 보상으로 연결될 것이라 믿을 때 더 큰 동기부여를 경험한다고 보았습니다.

이 네 가지 과정이론은 동기부여의 복잡한 내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기여합니다. 각 이론은 동기부여를 증진시키기 위해 조직과 관리자가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을 제시합니다.

Leave a Comment

공유하기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