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서식, 문서, 다운로드 사이트 위폼

Docly

무상감자와 유상감자의 정의와 회계처리

Estimated reading: 1 minute 0 views

무상감자

무상감자는 기업이 주주로부터 금전적 대가 없이 주식 수를 줄이는 방식입니다. 이 과정에서 기업은 주주에게 돈을 반환하지 않고 주식의 총 수를 감소시킵니다. 주로 회사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거나 주당 가치를 높이기 위해 실시됩니다. 무상감자는 주식의 액면가를 줄이거나, 특정 비율로 주주가 보유한 주식 수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주식의 총수가 줄어들면, 회사의 자본금은 감소하지만, 개별 주주의 지분율은 변하지 않습니다.

무상감자 체크포인트
- 무상감자는 주로 자본금 계정에서 이익잉여금이나 자본잉여금 등의 내부 자본 계정으로 자본 구성요소를 재분배하는 과정이므로,따라서, 무상감자를 진행하더라도 회사의 총 자산이나 총 자본(자본 총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맞습니다. 

유상감자

유상감자는 기업이 주주로부터 주식을 매입하여 소각하는 과정에서 금전적 대가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주식 수를 감소시킵니다. 유상감자는 일반적으로 회사의 유통 주식 수를 줄이고, 주당 이익(EPS)과 주가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과정에서 회사는 현금을 사용하여 주식을 매입하고, 해당 주식을 소각하여 자본금과 발행 주식 수를 감소시킵니다. 유상감자는 회사가 잉여 현금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주주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무상감자와 유상감자의 차이점

  • 목적과 방법: 무상감자는 주로 재무구조 개선이나 주당 가치 상승을 위해 사용되며, 주주에게 금전적 대가 없이 주식 수를 줄입니다. 반면, 유상감자는 유통 주식 수 감소, 주당 이익 증가를 목적으로 현금을 지급하면서 주식을 소각합니다.
  • 재무 영향: 무상감자는 자본금 감소와 주식 수 감소를 초래하지만 주주의 지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유상감자는 회사의 현금자산 사용과 함께 주식 수 및 자본금의 감소를 초래하며, 주당 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주주 가치: 두 방식 모두 장기적으로 주주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으나, 유상감자는 단기적으로 주주에게 현금을 지급하며, 주가 상승 효과가 더 직접적일 수 있습니다.

무상감자와 유상감자는 각각 다른 상황과 목적에 따라 선택되며, 기업의 전략적 결정에 따라 주주 가치와 재무구조에 영향을 미칩니다.

유상감자 (주식소각 시) 회계처리
1. 주식의 액면 금액보다 소각 금액이 작을 경우
자본금 500 원 (자본의 자본금 -) / 현금 300원 (자산 -) 
                          감자차익 200원 (자본의 자본잉여금)
* 소각으로 인하여 자본금이 감소하고, 소각 대금인 300원을 지급한다. 액면금액인 500원 자본을, 현금 300원을 주고 싸게 소각했기 때문에 감자차익이 발생한다. 

2. 주식의 액면 금액보다 소각 금액이 클 경우
자본금 300원 (자본의 자본금 -)  / 현금 500원 (자산-)
감자차손 200원 (자본의 자본조정)
* 소각으로 인해 자본금이 감소하고, 소각 대금인 500원을 지급한다. 액면금액인 300원의 자본(주식)을 현금 500원을 주고 소각시켰다. 비싸게 주고 했으므로 감자차손 200원이 추가된다. (자본의 자본조정)  

* 유상증자와 마찬가지로 상계가 가능하다. 위의 분개는 상계가 없는 경우이다.

Leave a Comment

공유하기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