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서식, 문서, 다운로드 사이트 위폼

Docly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 체계

Estimated reading: 1 minute 0 views

회계에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Conceptual Framework for Financial Reporting)는 재무회계와 관련된 원칙, 가정, 목적 및 정의를 제공하는 일련의 이론적 기준입니다. 이 개념체계는 재무정보가 의사결정에 유용해야 한다는 기본 전제 위에 구축되며, 고품질의 재무보고를 위한 기반을 마련합니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 IASB)나 미국의 재무회계기준위원회(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Board, FASB)와 같은 표준 설정 기관에 의해 개발되고 있습니다.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합니다:

1. 목적

재무보고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해관계자들에게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투자자, 채권자, 공급업체 등 회사의 재무 성과와 재무 상태에 관심을 가지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포함됩니다.

2. 기본 가정

기본적인 회계 가정들이 있으며, 이에는 기업 계속성(continuity), 발생 기준 회계(accrual basis), 일관성(consistency) 및 중요성(materiality)이 포함됩니다.

3. 정성적 특성

정보가 유용하기 위해서는 비교가능성(comparability), 확인 가능성(verifiability), 시의성(timeliness), 이해 가능성(understandability) 그리고 가장 중요한 관련성(relevance)과 신뢰성(reliability)을 갖추어야 합니다.

4. 재무제표의 구성 요소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주요 구성 요소를 정의합니다. 이에는 자산(assets), 부채(liabilities), 자본(equity), 수익(revenue), 비용(expenses) 등이 있습니다.

5. 측정

재무제표 항목들의 가치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에 대한 원칙을 제시합니다. 여기에는 역사적 원가(historical cost), 현재 가치(current value), 실현 가능 가치(realizable value), 공정 가치(fair value)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6. 공시

재무보고에서 공시해야 할 정보의 범위와 그 세부사항을 명시합니다.

개념체계는 표준 설정 기관이 새로운 회계기준을 만들고 해석할 때 일관된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는 기업들이 회계정책을 개발하고 회계상의 문제들을 해결할 때 지침을 제공하며, 이해관계자들에게 회계와 재무보고의 근본적인 원리를 설명하는 데도 사용됩니다. 개념체계는 일련의 규칙이나 표준보다는 더 추상적인 지침으로, 특정 상황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방향성과 원칙을 제시합니다.

단, 개념체계는 회계기준이 아니므로 개념체계의 어떠한 내용도 회계기준이나 요구사항에 우선하지 않습니다.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은 재무정보가 사용자들에게 유용하게 만드는 속성입니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의 개념체계에 따르면, 질적 특성은 크게 근본적 질적 특성과 강화적 질적 특성으로 나뉩니다. 여기서는 근본적 질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근본적 질적 특성

근본적 질적 특성은 재무정보가 의사결정 과정에서 유용하도록 만드는 핵심적인 특성들을 말합니다.

목적적합성 (Relevance) — 의사결정의 차이를 발생시킴

목적적합성은 회계정보가 사용자들이 과거, 현재, 미래의 경제적 현상에 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유용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목적적합성을 갖추기 위해 회계정보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포함해야 합니다 *회계정보 자체가 예측치일 필요는 없으며, 중요성은 사전에 미리 결정할 수 없다.

  • 예측가치 (Predictive Value): 정보가 사용자들이 미래의 경제적 현상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합니다.
  • 확인가치 (Confirmatory Value): 정보가 사용자들이 과거에 내렸던 예측이나 기대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합니다.
  • 중요성 (Materiality): 정보가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로 중요해야 합니다. 즉, 생략되거나 잘못된 정보로 인해 의사결정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는 경우 그 정보는 중요합니다.

표현의 충실성 (Faithful Representation) — 회사의 상황을 잘 표현해줌

표현의 충실성은 회계정보가 그것이 표현하고자 하는 경제적 현상을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포함합니다:

  • 완전한 서술 (Completeness): 정보가 필요한 모든 사실을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생략이나 오류로 인해 오도될 여지가 없어야 합니다.
  • 중립적 서술 (Neutrality): 정보가 편향되지 않고 객관적이어야 합니다. 즉, 의도적으로 특정 결론을 유도하거나 사용자의 판단을 왜곡해서는 안 됩니다.
  • 오류가 없는 서술 (Free from Error): 정보가 정확해야 하며, 오류가 없어야 합니다. 이는 절대적인 정확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 가능한 최선의 정보와 방법을 이용하여 오류의 가능성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모든면에서 정확하거나, 완벽한 것을 말하지는 않음)

회계정보는 이 두 근본적 질적 특성을 모두 갖추어야 하며, 그것이 사용자들에게 의사결정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합니다. 이외에도 강화적 질적 특성으로는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시의성, 이해성 등이 있어 이러한 근본적 질적 특성을 보완하고 강화합니다.

보강적 질적 특성

보강적 질적 특성은 근본적 질적 특성인 목적적합성과 표현의 충실성이 사용자들에게 실질적으로 유용하도록 만드는 추가적인 특성들입니다. 이들은 재무정보의 질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비교가능성 (Comparability)

비교가능성은 사용자들이 여러 시기에 걸쳐, 또는 여러 기업 간에 재무정보를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경향, 차이점, 상대적 성과 등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비교가능성은 회계정책의 일관적인 적용뿐만 아니라, 회계정책의 변경이 있을 경우 충분한 공시를 통해 이전 기간의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검증가능성 (Verifiability)

검증가능성은 다른 전문가들이 독립적으로 관찰하거나 계산하여 동일한 측정값에 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회계정보가 신뢰할 수 있으며, 객관적인 증거에 기반한 것임을 보증합니다. 예를 들어, 재고의 경우 물리적으로 수량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평가에 사용된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 원칙에 부합해야 합니다.

적시성 (Timeliness)

적시성은 정보가 사용자들에게 도달하는 시기가 그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빠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적시에 제공되지 않는 정보는 아무리 정확하거나 관련성이 높아도 그 가치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재무정보는 사용자들이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적절한 시기에 제공되어야 합니다.

이해가능성 (Understandability)

이해가능성은 평균적인 이해력을 가진 사용자가 재무정보를 적절히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이를 위해 재무정보는 구조화되고 명확한 방식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충분한 설명이나 주석을 포함해야 합니다. 복잡한 회계 사항도 가능한 한 이해하기 쉽게 전달되어야 하며, 이는 사용자들이 정보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러한 보강적 질적 특성들은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며, 근본적 질적 특성과 결합하여 재무보고의 전반적인 질을 결정합니다.

Leave a Comment

공유하기
CONTENTS